본문 바로가기

시각장애인4

Ⅴ. 장애인의 장애유형별 생활안전 1. 장애유형별 생활안전  1) 시각장애인   (1) 이동지원 서비스 중 주의할 점     ① 시각장애인이 바깥족에 위치하여 모퉁이를 돌 때는 너무 빨리 돌면 원심력에 의해 자연히         활동지원사와 멀어지게 되어 길가의 물건이나 다른 보행자들과 부딪힐 염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밀착 하여 여유 있게 걸어야 한다.      ② 시각장애인의 반 보 앞에서 걷는 활동지원사는 계단에서는 항상 한 계단 먼저 오르내리게         되는데 활동지원사는 시작하는 첫 계단과 끝나는 마지막 계단에서 잠시 멈춘다. "계단          올라갑니다.", "계단 내려갑니다."라고 말해 시각장애인이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③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앉을 경우: 반드시 등받이가 없음을 .. 2025. 3. 20.
시각장애의 이해와 지원방법 (가사와 사회활동) 가사지원서비스  사회활동지원서비스 ③ 가사지원서비스      ◆ 식사할 때 유의사항        - 밥과 국에 대해 설명하고 주메뉴 (찌개, 구이, 찜 등)를 소개한다.        - 젓가락을 쥔 이용자의 손을 이끌어 젓가락 끝을 주메뉴 그릇에 대어 주며 위치를 알려준다. 이때 주메뉴는           아니더라도 평소 이용자가 즐기는 반찬의 위치도 함께 알려준다.        - 전체적으로 식탁 위에 놓여있는 반찬들을 이용자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차례차례 말로 알려준다.        - 특별히 이용자가 묻거나, 필요하다면 그때그때 손을 이끌어 필요한 반찬의 위치를 직접 알려준다.        - 위치를 정해 놓은 것 (밥그릇과 국그릇, 수저, 물컵, 휴지통 등)은 항상 그 위치에 놓도록 한다.  .. 2025. 3. 16.
Ⅰ.신체적 장애인의 장애 유형 별 - 시각 장애 활동 지원 3. 시각장애의 이해와 지원방법 시각장애인이란 '시력 기능의 현저한 저하 또는 소실에 의해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이 있는 자'로  정의되며, 시력장애와 시야 결손장애로 구분한다. 안경, 콘택트랜즈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시력교정법을  이용하여 나쁜 눈의 교정시력이 0.02 이하이면 시각장애인으로 규정한다. 시각장애인은 시력을 완전히 잃고 깜깜한 세계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시각장애인의 상당수는 명암을 구분할 수 있는 광각이 있거나 희미하게나마 색꺌을 구분할 수 있으며 잔존 시각기능을 활용 하여 살아갈 수도 있다. 실재로 요즘은 의술이 발달하여 전혀 보이지 않는 전맹은 많이 줄어들고 있고, 약간은 볼 수 있는 저시력자가 늘어나고 있다.      1) 장애의 원인    시각장애의 .. 2025. 3. 15.
장애인을 바라보는 우리의 잘못된 시선과 문제점 1. 장애인의 대한 편견"편견"의 사전적 의미는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이다. 이처럼 일부만 보고 모든 것을판단해 벌리는 협소하고 편향된 사고방식은 특히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몇 가지 실제 사례로 장애인의 대한 우리의 편견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자. 미국의 어느 공항에서 장애인권운동가이자 여성 변호사인 브레슬린이 정장을 곱게 차려입고 전동휠체어에앉아 커피를 마시고 있었다. 그때, 정장 입은 한 여성이 그 옆을 지나가면서 브레슬린이 들고 있던 컵에 25 센트짜리 동전을 던져진 순간 컵에 빠진 동전으로 그만 커피가 튕겨져 브레슬린의 옷을 더럽히자, 자신의 실수를알아차린 그녀는 당황하여 도망치듯 그 자리를 떠났다. 위 일화에서 보듯이 편견은 사물의 한 측.. 2025.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