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2 Ⅲ.장애인 보조기기의 개념과 활용 1. 보조기기의 개념과 정의보조기기(Assistive Devices)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신체적, 감각적, 인지적 한계를 보완하거나 보조하여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나 도구를 의미합니다. 보조기기는 개인의 독립성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보조기기는 신체적 장애, 청각 장애, 시각 장애, 발달 장애, 정신 장애 등 다양한 장애 유형에 따라 설계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특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2. 보조기기의 필요성과 활용1) 장애인의 자립과 삶의 질 향상보조기기는 장애인이 일상생활을 보다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사용하면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이 혼자서도 외출할 수 있으며, 점자 정보 .. 2025. 3. 19. Ⅰ.신체적 장애인의 장애 유형별 - 청각 장애 활동지원 4. 청각장애의 이해와 지원방법 청력의 단위는 데시벨(dB)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20dB까지를 기준 청력의 범위라고 하고, 그 이상의 데시벨로 표시되는 청력에 대해서는 손실이 있다고 한다. 청력의 기준인 20dB의 소리는 속삼임이나 침실의 벽시계 소리 정도이다. 보통 청력이 91dB 이상이면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농(deaf, 聾)이라고 한다. 농의 기준이 되는 90-100dB의 소리는 지하철이 통과할 때의 소음이나 피아노의 최대 음 정도의 크기이다. 난청(難聽, hearing impairment)은 청력 손실이 있지만 귀가 일차적으로 말소리를 듣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 청력으로 언어습득이 가능한 경우이며 25-90dB 정도를 의미한다. 난청과 농을 포함하여 청각장애라고 하는데 일상.. 2025. 3. 17. 이전 1 다음